본문 바로가기
독서 리뷰

트리거(Trigger) - 행동의 방아쇠를 당기는 힘 (마셜골드스미스 작가)

by 센트빈 2020. 2. 19.
반응형
내가 원하는 진짜 나를 찾는 방법은 무엇이 있을까?

위 답을 내리기 위해 답을 찾고, 주변 사람들에게 전파하는 사람이 쓴 책. 트리거입니다. 내가 정말로 하고 싶은 일, 이루고 싶은 목표에 도달하고자 생각만 하는 사람들이 많습니다. 작가는 이러한 사람들에게 도움을 주고, 목표를 달성하게 하면서 얻었던 인사이트를 정리하여 책으로 결과를 냈습니다.

 

트리거는 우리의 생각과 행동을 바꾸는 심리적 자극을 말한다. - 8 Page -

트리거는 항상 옆에 있으며, 우리가 원하는 방식으로 찾아오진 않습니다. 자신이 원한다고 해서 발생시킬 수 없는 것이며, 수많은 트리거들이 오더라도 일상에서 겪는 다양한 현상에서 찾아내기는 쉽지 않습니다. 그러다 보니 유의미한 변화가 찾아오기도 힘듭니다. 잦은 트리거 현상들은 오히려 불안과 스트레스를 주는 경우가 많습니다.

결론적으로 우리가 통제 가능한 트리거를 만들어야 합니다.

 

책에서는 4가지 방법을 제시합니다.

  1. 환경 ⇒ 내가 원하는 바를 못 이루는 가장 큰 이유
  2. 시도 ⇒ 가장 중요한 원칙
  3. 체계 ⇒ 성실함과 꾸준함을 만드는 방법
  4. 변화 ⇒ 체계가 잡히고 난 후 보이는 결과

우리가 인정하고 알아야할 진리!

진리 1. 변화는 어렵다.

그렇습니다. 보통 우리들은 변화의 필요성을 인지하지 못합니다. 느끼더라도 시작하는 방법 자체를 몰라서 바로 좌절하게 됩니다. 그리고 가장 많은 사람들이 도달하지 못하는 것! 실행에 옮기지를 못합니다. 실행에 옮기더라도 지속성이 짧습니다. (작! 심! 삼! 일!)

진리 2. 변화를 원하지 않는 사람은 변화시킬 수 없다.

변화를 원하지 않는 사람은 남이 어떤 조언과 환경, 자원을 주더라도 변화되지 않습니다. 또한 변화를 원한다고 말하는 사람이라도 속으로는 거짓된 생각을 가지고 있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변화하는 방법은 간단하다. 하지만 쉽지 않다. 오히려 엄청나게 어렵다.

위 말이 이해가 안 될 수 있습니다.

 

간단하다 ⇒ 방법이 복잡하지 않습니다. 이미 나와있는 그대로 하면 됩니다. 오히려 단순해서 따라 하기는 쉽습니다.

쉽지 않다 ⇒ 간단해도 그것을 지속적으로 하기가 어렵습니다.

또한 시작하기도 싫은 경우가 많습니다. 예를 든다면 적게 먹으면 살이 빠진다는 것은 누구나 다 알고 간단한 사실입니다. 지키기 어려울 뿐...

 

변화를 시작할 수 있는 다양한 원칙들을 소개합니다.

  1. 시작해라. 실천해라
  2. 예외는 없다.
  3. 겸손해라. 도움을 받아야 한다. 스스로를 맹신하지 마라.
  4. 열정은 사그라든다. 열정 없이 변화해라.
  5. 시간의 여분은 많아야 한다.
  6. 예측하지 마라. 언제나 시간은 부족하다.
  7. 요행은 없다.
  8. 달성은 없다. 달성은 죽을 때까지 없다.
  9. 세상은 불공평하다. 그리고 복합적이다. 그렇기 때문에 올라갈 수 있다.
  10. 세상은 나쁜 짓에 훨씬 큰 관심을 보인다.

위 원칙들은 여러 방향으로 적용 가능합니다. 그리고 제가 보는 유튜버 분들이 하셨던 이야기와 겹치는 부분도 많습니다. 저 원칙들을 지켰기 때문에 이뤄내신 분들이죠.

 

책에서 제시했던 4가지 방법에 대한 조언들

변화를 하고 싶다면 환경부터 바꿔라. 변화의 시작이다.

환경 설정은 확실한 자기 관리의 시작이라 생각합니다. TV 앞에서 공부하는 것만큼 비효율적인 방법도 없습니다. 공부를 하겠다면 주변에 있는 게임기, TV, 스마트폰 전부를 치워야 집중이 됩니다. 환경 설정 후 그다음 공부법을 고민해야 합니다.

 

내가 바뀌어야 한다. 남을 바꿀 순 없다.

인간관계론에서도 나오는 이야기입니다. 남을 바꾸는 일만큼 불확실하고 불가능한 일도 없습니다. 나 스스로를 바꾸는 것이 가장 빠르고 손 편한 방법입니다. 남을 바꾸기 위해 시간을 낭비하지 맙시다.

 

스스로에 대한 피드백은 더욱 발전된 자신을 보기 위한 좋은 방법이다.

자신이 발전하고 나아가고 있다는 사실을 알기 위해서는 피드백이 중요합니다. 주변 지인에게 지속적으로 피드백받을 수 있다면 좋겠지만, 그것이 여의치 않다면 스스로에 대한 피드백을 합시다. 자기 전에 피드백!! 데일리 리포트를 전파하고 있는 신박사님을 참고하시면 더욱 상세한 방법을 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시도에서 최고로 좋은 마법의 질문 ⇒ 목표에 대해 오늘 하루 얼마나 최선을 다했는가?

최선을 다한 양을 숫자로 치환하여 평가해보면 더욱 고쳐야 할 점과 스스로에게 칭찬할 부분이 나오게 됩니다. 수치화는 스스로에게 동기 부여를 할 수 있으며, 눈에 보이는 성과를 통해 지속성을 얻을 수 있습니다.

 

우리가 하고 있는 일, 또는 도전하고자 하는 일에 대한 근본적인 질문

이 일은 정말 내가 원하는 일인가? 정말 우선순위가 높은 일인가?

우리의 자원은 매우 한정적이다. 그렇기 때문에 우선순위가 높은 일에만 자원을 한정하기에도 시간이 부족하다. 위 질문에 Yes를 말할 수 있다면 아낌없이 투자하자.

 

지속적인 발전과 변화를 위해서는 스스로에 대한 평가는 매우 중요합니다. 내가 제대로 된 길을 걷고 있는지. 나아가고 있는지는 스스로에게 질문해야 하고, 고뇌하고 결과를 도출해야 합니다. 남이 좋은 일이 아닌 내가 좋은 일. 그리고 그것을 이어가는 데 필요한 기술과 자본을 얻는 방법을 고민해야 합니다. 주변 전문가에게 도움을 요청하는 것은 당연히 병행해야 합니다. 두려워하지 말고, 전혀 다른 분야라도 나와 비슷한 고민을 어떻게 풀었는지에 대해 피드백을 받아보세요.

내가 원하는 방향이 비슷하거나 같다면, 분야가 다르고 하는 일이 아예 달라도 피드백을 받을 수 있습니다.

 

당신의 트리거를 만들고, 꾸준히 달려 목표에 도달했으면 좋겠습니다.
반응형

댓글